
결정론과 자유의지 앞서 우리는 '신이 존재한다면 왜 악들은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 신이 그럴만한 이유가 있으니 내버려 두는 것이며 이 모든 것은 신의 섭리라는 에 나오는 철학의 여인의 주장을 다시 한 번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철학의 여인이 말한 것처럼 신이 존재하고 신은 이미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 다 알고 내려다 보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렇다면 신이 내일 내가 무얼 할지 이미 알고 있다면 인간의 자유의지란 존재하지 않는 것이냐는 의문을 제기해 볼 수 있을 겁니다. 이것이 이른바 결정론과 자유의지의 문제입니다. 그러나 보에티우스는 신이 직관과 인간의 인식은 다르다고 보았습니다. 신의 예지와 인간의 자유의지는 상충되지 않는다는 말인데요. 신은 언제 어디에서나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

보에티우스의 탄생 배경 보에티우스(477-525년)는 서로마 제국의 멸망(476년) 직후에 아니치우스라고 불리우는 로마의 최고 명문 가문에서 태어납니다. 그는 아테네와 알렉산드리아에서 유학을 하며 프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사상을 깊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 젊은 시절 보에티우스의 꿈이 '그리스어로 쓰여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라틴어로 번역하는 것'이라는 점을 살펴 보면 이 두 선배 철학자의 사상은 그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거라고 여겨집니다. 견문 지식 뿐만 아니라 학식 또한 출중했던 보에티우스는 당시 로마를 점령한 동고트의 왕이었던 테오데리쿠스 왕의 집정관으로 발탁됩니다. 그는 화폐 제도, 도량 제도, 제정 문제, 종교 간의 충돌 문제 등 당시 많은 행정 문제들을 해결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보이티우스
- 철학
- 최초의철학자
- 최초의과학자
- 이오니아철학자
- 아카데미아
- 헤라클레이토스
- 향현
- 소크라테스
- 비트겐슈타인철학
- 비트겐슈타인전기철학
- 소피스트
- 스콜라철학
- 소크라테스철학
- 플라톤
- 소크라테스문답법
- 비트겐슈타인생애
- 철학자
- 철학의위안
- Socrates
- 베티겐슈타인
- 과학자포퍼
- 리케이온
- 알렉산더대왕
- Epicurus
- 보에티우스철학의위안
- 탈레스
- 아리스토텔레스
- 보에티우스
- 고대철학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